文정권 출범 이후 서울 종부세 인원 2배 증가-강남·서초구 전체 주택 중 50%가 대상

은평구 1인당 종부세납부액 3년만에 198% 증가, 25개 자치구 중 1위
유경준 “종부세 문제 더 이상 강남만의 문제 아냐, 서울 시내 모든 가구가 걱정 할 문제!”
나홍선 기자
hsna@joseplus.com | 2021-01-28 10:50:11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문재인 정부 출범이후 서울시의 종합부동산세 납부인원이 2배 늘었다는 분석결과가 공개되었다.

 

127() 통계청장출신인 국민의힘 유경준의원(사진)이 국세청의 서울시 내 구별 종합부동산세 결정인원을 분석·추계한 보고서를 내놨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서울시 전체의 총 주택수 대비 종부세 납부인원은 약 6.4%에 불과했지만, 2020년에는 약 13%2배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강남구의 경우 2017년 총 주택수 대비 종부세 대상인원이 약 25.4%에서 202050.5%로 절반을 넘어섰고 뒤이어 서초구(24.8%->47%), 송파구(10.9%->26.3%), 용산구(13.4%->25.8%), 양천구(5.9%->14.8%) 등 대다수 지역에서 2배가량의 증가율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1인당 결정세액(종부세액)의 경우 증가율이 더욱 가파르게 나타났다. 서울시 종부세 납부자의 1인당 평균 종부세 납부액은 2017128만원에서 2020228만원으로 약 80% 증가하였다.

 

특히, 은평구는 20171인당 종부세 납부액이 114만원에서 2020342만으로 약 198% 증가해 25개 자치구 중 가장 큰 증가율을 보였다. 이외에도 노원구(118.2%), 서초구(106.6%), 용산구(132.8%), 종로구(114.3%), 중구(114.5%) 등이 2배가 넘는 증가율을 기록했다.

 

유경준 의원은 문재인 정부는 (아기와 학생까지 다 포함된) 전체인구수 대비 종부세 납부인원을 가지고 1% 남짓이라고 통계를 왜곡하고 있다면서 총 주택수 중 종부세 납부대상이 되는 주택이 얼마인지 헤아리는 것이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통계라고 말했다.

[ⓒ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