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욱 의원, 국산둔갑 수출 적발 5년간 5,108억원에 달해

최근 5년간 대외무역법 위반 국산둔갑 수출 84건, 5,108억원 적발
중국산을 한국산으로 둔갑시켜 미국에 수출한 규모만 1,235억원
미국 고관세회피 목적의 국산둔갑 우회수출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 필요
박정선 기자
news@joseplus.com | 2025-04-24 07:38:10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이종욱 의원(경남 진해)은 관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 대외무역법 위반 국산 둔갑 수출 적발액이 총 5,108억 원(81)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국산 둔갑 수출(국산 가장 수출)은 실제로는 국산이 아닌 물품을 국산으로 표시해 수출하는 행위를 뜻한다. 최근 미국의 고관세 정책에 따라 라벨 변경, 서류 위조 등 불법 행위를 통해 해외 제품이 한국산으로 둔갑해 미국 등으로 수출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연도별 국산둔갑 수출 적발액은 2020433억원(16), 2021436억원(14), 20222,408억원(24), 20231,188억원(14), 2024348억원(9), 20253월까지 295억 원(4)으로 집계됐다.

 

수출 국가별로는 최근 5년간(2020~20253) 미국으로의 국산 둔갑 수출 적발액이 1,505억 원으로 전체 적발액의 29.5%를 차지했다. 특히, 한국산으로 둔갑해 미국에 수출된 중국산 제품 규모가 1,235억 원으로, 대미 국산 둔갑 수출(1,505억 원)82.1%에 달했다.

 

최근 3년간(2023~20253) 대미 국산 둔갑 수출 적발액(539억 원, 21) 전부가 중국산 제품이었으며, 이는 미국의 고관세 회피를 위한 중국산 제품의 국산 둔갑 수출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함을 보여준다.

 

세관별로는 부산세관이 2,342억 원(41)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세관(1,364억 원, 17), 광주세관(593억 원, 3), 대구세관(489억 원, 7), 인천공항세관(349.2억 원, 8), 인천세관(265억 원, 9)이 뒤를 이었다.

 

이종욱 의원은 국산으로 둔갑한 중국산 제품이 미국으로 버젓이 수출되는 현실은 대한민국의 통상 신뢰를 근본부터 흔드는 심각한 사안이라며, “이는 단순한 위법을 넘어 국가 경제와 수출 기반을 위협하는 중대한 범죄 행위라고 지적했다. 이어 미국의 고관세 회피를 노린 국산 둔갑 수출은 한미 간 통상 마찰과 제재를 유발할 수 있는 만큼, 관세청과 정부는 세관별 단속 체계를 전면 재점검하고, 반복적으로 법을 위반한 기업에 대해서는 즉시 수출입 제한 등 행정조치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5년간 대외무역법 위반 국산가장 수출 적발 현황

(기간:20202025.3)

(단위 : 사건건수, 억원)

구분

’20

’21

’22

’23

’24

’25.3

합계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국산

가장 수출

16

433

14

436

24

2,408

14

1,188

9

348

4

295

81

5,108

국산가장 수출(국산둔갑 수출): 국산이 아닌 물품을 국산으로 표시하여 수출

 

최근 5년간 대외무역법 위반 국산가장 수출 적발 현황 (국가별)

(단위 : , 억원)

국가

’20

’21

’22

’23

’24

’25.1분기

합계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미국

8

68

3

67

11

831

14

37

4

217

3

285

43

1,505

기타

42

366

12

369

37

1,577

85

1,152

6

130

1

10

183

3,604

합계

50

433

15

436

48

2,408

99

1,188

10

348

4

295

226

5,108

* 1건의 사건에 물품과 국가는 다수가 포함될 수 있어, 사건 건수와는 상이합니다.

 

최근 5년간 대외무역법 위반 국산가장 수출 적발 현황 (대미우회수출)

(단위 : , 억원)

구분

’20

’21

’22

’23

’24

’25.1분기

합계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대미 우회수출

8

68

3

67

11

831

14

37

4

217

3

285

43

1,505

대미

우회수출

(원산지:중국)

7

67

2

65

10

564

14

37

4

217

3

285

40

1,235

[ⓒ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