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관세청은 ’15.12.20일 정식 발효된 한·중, 한·베트남 FTA 5년간의 교역 동향을 분석·발표했다.
     
중국·베트남은 교역규모로 지난해 각각 2,434억불·692억불을 기록, 이는 우리나라 전체 교역(10,456억불)의 29.9%를 차지할 만큼 주요한 교역상대국이다.
     
〔FTA 발효 후 대중국·베트남 교역 추이〕
(단위: 억불, %)
교역  | ’15  | ’16  | ’17  | ’18  | ’19  | 연평균 증가율  | 
대중국  | 2,274  | 2,114  | 2,400  | 2,686  | 2,434  | 1.7  | 
(▵3.4)  | (▵7.0)  | (13.5)  | (11.9)  | (▵9.4)  | ||
대베트남  | 376  | 451  | 639  | 683  | 692  | 16.5  | 
(23.7)  | (19.9)  | (41.7)  | (6.9)  | (1.3)  | ||
전세계  | 9,633  | 9,015  | 10,521  | 11,401  | 10,456  | 2.1  | 
(▵12.3)  | (▵6.4)  | (16.7)  | (8.4)  | (▵8.3)  | 
* ( ) 안은 전년대비 증감율
     
중국은 한국의 제 1위 교역대상국으로, ’18년도까지 대중국 교역량이 증가세를 유지하였으나, 미중 무역분쟁의 여파로 지난해 전세계 교역 감소(▵8.3%)폭보다 더 크게 줄었으며(▵9.4%),
     
대베트남 교역은 세계 교역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연평균 16.5%로 급증하였으며, FTA 발효 5년차인 지난해는 ’15년에 비해 84% 증가(376억불→692억불)하는 등 우리나라 교역 증가세를 주도하고 있다.
     
〔전년대비 수출입동향〕’19년 대중국·베트남 수출은 전년대비 각각 16.0%·0.8% 감소, 수입은 0.8%·6.6% 증가하여 무역수지는 290억불·272억불 흑자를 기록했다.
     
’19년 전세계 무역흑자가 전년대비 44.3% 감소할 때 중국은 더 큰 폭으로 감소(48.0%)하였고, 이는 중국의 내수중심 성장전략 등 국내정책 변화에 따른 영향이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베트남과의 무역흑자 또한 감소(5.9%)하였으나 큰 편은 아니며, FTA가 양국 교역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FTA 발효 후 대중국·베트남 수출입 교역 추이〕
(단위: 억불, %)
구분  | ’15  | ’16  | ’17  | ’18  | ’19  | |
수출  | 대중국  | 1,371  | 1,244  | 1,421  | 1,622  | 1,362  | 
(▵5.6)  | (▵9.3)  | (14.2)  | (14.1)  | (▵16.0)  | ||
대베트남  | 278  | 326  | 477  | 486  | 482  | |
(24.1)  | (17.3)  | (46.3)  | (1.9)  | (▵0.8)  | ||
수입  | 대중국  | 903  | 870  | 979  | 1,064  | 1,072  | 
(0.2)  | (▵3.7)  | (12.5)  | (8.7)  | (0.8)  | ||
대베트남  | 98  | 125  | 162  | 197  | 210  | |
(22.5)  | (27.6)  | (29.6)  | (21.6)  | (6.6)  | ||
대중 무역수지  | 468  | 374  | 442  | 558  | 290  | |
(▵15.2)  | (▵20.1)  | (18.2)  | (26.2)  | (▵48.0)  | ||
대베 무역수지  | 180  | 201  | 315  | 289  | 272  | |
(25.0)  | (11.7)  | (56.7)  | (▵8.3)  | (▵5.9)  | ||
전세계 무역수지  | 905  | 894  | 953  | 700  | 390  | |
(91.7)  | (▵1.2)  | (6.6)  | (▵26.5)  | (▵44.3)  | ||
* ( ) 안은 전년대비 증감률
     
〔참고: 한국의 주요 교역국별 수출입 현황〕 (단위: 억불, %) 
  | |||||||||||||||||||||||||||||||||||||||||||||||||||||||||||||||||||||||||||||||
     
□〔품목별 수출입〕대중국 주요 수출입품목은 반도체·컴퓨터이며, 대베트남 주요 수출품목은 반도체 등 전자부품, 수입품목은 무선통신기기·의류이다.
     
(수출) 대중국·베트남 최대 수출을 이끄는 반도체와 함께 석유제품·합성수지·석유화학중간원료 등 중간재 제품이 대중국 수출을 견인하고 있으며, 대베트남 수출은 전자부품 관련 수출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19년 대베트남 상위 4대 수출품목 모두 전자부품 관련이며, 전체 수출의 49.5% 차지
     
〔대중국·베트남 수출 상위 10대 품목(MTI3단위) 현황〕
     
(단위: 백만불)
연번  | 대중국 수출금액  | 대베트남 수출금액  | ||||
품목명  | ’15  | ’19  | 품목명  | ’15  | ’19  | |
1  | 반도체  | 27,755  | 37,327  | 반도체  | 2,870  | 10,730  | 
2  | 평판DP  | 15,304  | 9,180  | 평판DP  | 254  | 7,970  | 
3  | 석유제품  | 4,419  | 7,589  | 무선통신기기  | 4,249  | 2,933  | 
4  | 합성수지  | 6,317  | 7,036  | 전자기구부품  | 1,233  | 2,230  | 
5  | 석유화학중간원료  | 5,789  | 5,848  | 석유제품  | 328  | 2,194  | 
6  | 광학기기  | 2,247  | 3,500  | 합성수지  | 1,110  | 1,624  | 
7  | 반도체제조용장비  | 1,843  | 3,459  | 플라스틱제품  | 740  | 1,210  | 
8  | 기초유분  | 2,578  | 3,309  | 철강판  | 839  | 1,158  | 
9  | 컴퓨터  | 3,298  | 3,178  | 편직물  | 977  | 996  | 
10  | 비누치약및화장품  | 1,224  | 3,087  | 자동차  | 1,136  | 991  | 
       | 10대품목 비중  | 51.6%  | 61.3%  | 10대 품목 비중  | 49.5%  | 66.5%  | 
전체  | 137,124  | 136,213  | 전체  | 27,771  | 48,178  | |
* ’19년 기준 상위 10대 품목의 연도별 수출액 및 비중
     
(수입) 대중국 수입은 반도체*·컴퓨터·정밀화학원료 등 중간재 비중이 높은 품목 중심으로 수입이 증가하였으며, 대베트남 수입은 무선통신기기**(핸드폰 및 그 부분품)·의류의 수입이 꾸준한 성장세를 나타냈다.
* (’15) 113.5억 → (’16) 112.6억불 → (’17) 132.5억불 → (’18) 162.6억불 → (’19) 183.1억불
** (’15) 14.7억 → (’16) 31.5억불 → (’17) 39.6억불 → (’18) 48.4억불 → (’19) 56.9억불
〔대중국·베트남 수입 상위 10대 품목(MTI3단위) 현황〕
     
(단위: 백만불)
연번  | 대중국 수입금액  | 대베트남 수입금액  | ||||
품목명  | ’15  | ’19  | 품목명  | ’15  | ’19  | |
1  | 반도체  | 11,353  | 18,312  | 무선통신기기  | 1,471  | 5,691  | 
2  | 컴퓨터  | 5,384  | 6,801  | 의류  | 2,221  | 3,646  | 
3  | 무선통신기기  | 8,396  | 6,106  | 신변잡화  | -  | 1,228  | 
4  | 정밀화학원료  | 3,133  | 5,455  | 평판 DP  | 124  | 1,197  | 
5  | 산업용 전기기기  | -  | 3,829  | 컴퓨터  | 400  | 679  | 
6  | 의류  | 3,439  | 3,664  | 목재류  | 348  | 657  | 
7  | 철강판  | 4,187  | 3,467  | 기구부품  | 205  | 512  | 
8  | 평판 DP  | 3,001  | 2,555  | 산업용 전기기기  | -  | 479  | 
9  | 신변잡화  | -  | 2,416  | 반도체  | 111  | 471  | 
10  | 자동차부품  | 1,237  | 1,560  | 영상기기  | 150  | 356  | 
       | 10대품목 비중  | 44.5%  | 50.5%  | 10대품목 비중  | 51.3%  | 70.8%  | 
전체  | 90,250  | 107,220  | 전체  | 9,804  | 21,071  | |
* ’19년 기준 상위 10대 품목의 연도별 수출액 및 비중
     
(수출입 다변화) FTA 발효 이후 한국의 대중국 수출·수입에서 총 품목수(HS 10단위 기준)가 각각 127개·320개 증가하였고, 대베트남 수출·수입에서는 각각 795개·1,575개로 크게 증가하여 수출입 다양성이 개선된 것으로 분석됐다.
대중국·베트남 교역품목 중 생활용품과 농림수산물의 품목수가 수출입 모두에서 증가*하였으며, 특히 대베트남 수출·수입품목은 잡제품을 제외한 모든 산업에서 고르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용품〕(수출) 중국 195개·베트남 201개 증가 / (수입) 중국 272개·베트남 186개 증가
*〔농림수산물〕(수출) 중국 73개·베트남 162개 증가 / (수입) 중국 105개·베트남 366개 증가
     
(FTA 활용)’19년말 기준 한·중 FTA 수출활용률은 57.2%, 수입활용률은 80.1%이며, 한·베 FTA 수출활용률은 46.1%, 수입활용률은 85.7%로 수출·수입간 활용률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중 FTA는 관세 철폐가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지고 타 협정에 비하여 FTA특혜 품목수가 적으며*, 한·베 FTA는 과세가 유보되어 FTA 활용실익이 없는 베트남 보세공장 반입 수출물품이 상당수인 점 등이 중국과 베트남의 수출활용률이 저조한 요인으로 분석된다.
* 5년 내 관세 완전철폐 비중은 미국 92.8%, EU 99.6%, 캐나다 89.4% 등 인데 반해, 중국의 경우 40.5%로 타 협정에 비해 낮은 편 (품목수 기준)
     
〔통관애로〕FTA 확대에 따라 우리 수출기업의 FTA 해외통관애로가 지속 발생하고 있으며, ’19년말 기준 중국과 베트남의 통관애로가 전체 통관애로의 42.3.%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 (’19 통관애로 현황) 중국 25건, 베트남 22건으로 전체 통관애로(111건) 중 42.3% 차지
     
통관애로는 주로 상대국의 원산지증명서 불인정, 증명서의 형식적 요건 불충족 등 절차상의 하자 등으로 우리 수출기업이 통관애로를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FTA 활용에 애로를 겪는 수출기업 지원을 위하여 관세청은 “수출물품이 상대국에서 원활하게 특혜관세를 적용받을 수 있도록 원산지증명서 전자교환(EODES, Electronic Origin Data Exchange System)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며 “EODES는 상대국의 원산지증명서 거부 등으로 FTA 활용에 애로를 겪는 우리 수출기업의 FTA 활용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