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 ‘수출 e-로움’ 정책으로 전자상거래 수출 상위 100대 품목 HS코드 첫 공개

HS 4·6·10단위 동시 제공…중소기업의 수출신고 정확성·편의성 동시 제고
전자상거래 주요 수출 물품 파악…수출전략 수립과 해외시장 대응에 활용
박정선 기자
news@joseplus.com | 2025-11-03 09:51:16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관세청은 전자상거래 수출지원을 위한 수출 이(e)-로움정책의 일환으로 전자상거래 수출 상위 100대 품목 리스트와 HS*코드를 지난 1031일 최초로 공개했다.

 

HS란 국제적으로 교역되는 상품에 대하여 관세부과, 통계수집, 운송, 보험 등 다양한 목적에서의 통일된 분류를 위해 상품의 명칭을 숫자 코드와 연결하여 만든 상품 분류표이다. 상품과 연결하여 만든 숫자 코드를 흔히 HS코드, 품목번호, 세번부호라고 칭한다.< ex) 여성용 청바지의 HS코드 : 6204.621000>

 

이번에 공개하는 전자상거래 수출 상위 100대 품목*은 실제 수출자료를 기반으로 선정된 것으로, 해당 품목의 HS코드를 제공하여 수출기업이 자사 물품을 보다 쉽게 파악하고 정확하게 신고하는 데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 ‘24년 수출신고 · HS코드 10단위 품목 · 금액 기준>

 

수출기업이 세관에 신고하는 HS코드 10단위에는 특정 품목으로 분류되지 않는 나머지 상품을 통합한 기타(other)’ 항목이 많아, 해당 코드만으로 상품의 세부 정보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에 관세청은 상위 분류인 HS코드 4단위와 6단위를 함께 제공하여 유사 품목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고, 분류 오류를 줄여 수출신고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했다.

 

HS 단위

품목번호

품 명

비 고

2단위

62

의류

대분류, 전 세계 공통

4단위

6204

여성용 슈트 · 재킷 · 바지

중분류, 전 세계 공통

6단위

6204.62

면으로 만든 것 (of cotton)

소분류, 전 세계 공통

10단위

6204.62-1000

청바지 (Of denim, including blue jeans)

세부 분류, 국가별 상이

(예시) 품목분류 체계 : 6204.621000호에 분류되는 여성용 청바지

 

공개된 품목 내역을 보면 화장품, 음반, 의류, 전자기기, 식품 등이 주요 수출품목군으로 자리 잡았으며, 이는 K-뷰티, K-콘텐츠, K-패션 등 한류 소비재의 해외 인기가 높음을 보여준다.

 

작년 대비 올해 9월까지의 순위 변화를 보면 패션 잡화, 생활용품, 유아용품 품목군이 눈에 띄는 순위 상승을 보였으며, 앨범, 신발류, 인삼제품, 담배는 순위가 크게 하락했다.

 

< 전년 대비 주요 순위 변동 품목 현황 >

상승 품목

하락 품목

품목

HS코드

순위 변동

비고

품목

HS코드

순위 변동

비고

가방류

4202.92-2000

6621

45계단 상승

신발류

6404.11-0000

1851

33계단 하락

실내 방향제

3307.49-0000

4523

22계단 상승

앨범

4820.50-0000

1658

42계단 하락

주방용품

3924.10-0000

4936

13계단 상승

인삼제품

2106.90-3029

23100위 밖

순위권 이탈

유아용 의류

6111.30-2000

6538

27계단 상승

담배

2402.20-1000

58100위 밖

순위권 이탈

 

이명구 관세청장은 이번에 공개한 100대 품목은 정확한 수출신고를 위해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 기업이 주요 전자상거래 수출 물품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하고 품목별 수출전략 수립과 해외시장 변화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도 수출 이(e)-로움정책 기조 아래, 기업이 체감하는 맞춤형 관세행정을 통해 작은 기업도 글로벌 시장에서 이로움을 얻을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붙임

 

전자상거래 수출 관련 주요통계

 

전자상거래 수출물품 현황 

(단위 : 백만불)

순 위

2022

2023

2024

품목

금액

품목

금액

품목

금액

1

향료화장품

422

향료화장품

557

향료화장품

1,024

2

전기기기CD

197

전기기기CD

220

전기기기CD

114

3

플라스틱 제품

87

플라스틱 제품

80

의류(편물제)

97

4

의류(편물제)

69

의류(편물제)

66

보일러기계류

83

5

의류(비편물제)

68

조제 식료품

62

조제 식료품

78

주요 수출품목은 화장품, 음반, 의류, 기계류(인쇄 컴퓨터 관련 제품 등)가 상위를 차지

 

전자상거래물품 국가별 수출실적 

(단위 : 천건, 백만불)

구 분

일본

미국

중국

대만

기타

합계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20

11,034

453

1,810

141

8,672

362

268

18

5,103

216

26,887

1,190

’21

20,749

796

2,212

341

6,858

390

488

25

10,213

404

40,519

1,956

’22

23,322

790

1,857

376

6,332

399

971

36

11,162

433

43,643

2,033

’23

25,128

846

1,954

470

7,716

453

2,184

72

12,139

463

49,120

2,304

’24

33,719

1,044

2,249

748

6,004

439

3,403

105

15,797

567

61,172

2,903

국가별 비중(‘24년 금액 기준) : 일본(36.0%) 미국(25.8%) 중국(15.1%) 대만(3.6%)

[ⓒ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미래애셋자산운용

조세TV